영포목우회 수첩 발견, "MB-이상득은 고문"
"김무성은 명예회원", 1997년 제작된 수첩엔 104명 등재
2010-07-10 07:30:46
<조선일보>가 10일 존재하지 않는다던 '영포목우회 수첩'을 입수해 공개했다. 문제의 수첩에 이명박 대통령과 이상득 한나라당 의원은 '고문' 자격으로 실려 있고, 김무성 한나라당 원내대표도 '명예회원'으로 등재돼 있어 눈길을 끌었다.
문제의 영포목우회 수첩은 영포목우회 창립 12년이 지난 1997년 4월 만들어진 것으로, 수첩에는 정회원, 준회원, 명예회원으로 구분된 '회원' 및 '고문'들의 이름과 사진, 직책, 본적, 주소, 출신고 등이 적혀 있다.
정회원은 5급(사무관) 이상 공무원이고, 준회원은 6급 이하 공무원 회원을 뜻한다. 5급 이상 공무원 회원수가 적다 보니 수를 늘리는 차원에서 준회원 조항을 신설했다고 한다.
명예회원은 정회원 10명의 추천을 받은 사람으로 공무원 출신의 정치인, 기업인들이었다. 1997년 당시 정회원 60명, 준회원 20명, 명예회원 24명으로 총 회원 규모는 104명이었다.
정치권에서 영포목우회 회원이라는 의혹을 제기한 이인규 윤리지원관은 1997년 노동부 5급 공무원이었지만 회원 명단에 들어있지 않았다. 이영호 청와대 비서관 역시 당시 은행원 신분이어서 회원 명부에 보이지 않았다. 한국갤럽 회장으로 있던 최시중 위원장과 경북 칠곡 출신으로 이상득 의원 보좌관이었던 박영준 국무총리실 국무차장도 명단에 없었다.
명예회원 중에서는 '과거 친박' 김무성 한나라당 원내대표가 끼어 있어 눈길을 끌었다. 그는 어릴 적 포항에서 자라 명예회원에 이름을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수첩에는 영포목우회의 ‘고문’ 17명 명단도 포함돼 있었다. 여기엔 당시 왕성하게 활동하던 영일·포항 출신 기업인과 정치인 등이 다수 포함됐다. 이명박 대통령과 이상득 의원, 허화평 전 의원, 김창성 ㈜전방 명예회장, 박경석 전 의원, 최상엽 전 법무장관 등이 바로 그들이었다.
이명박 대통령과 이상득 의원의 경우 1990년대와 2000년대 초반 등 3, 4차례 모임에 나온 적이 있다고 했다.
현재 현직 5급 이상 공무원만 120여명쯤 되는 리스트가 돌고 있지만 이는 행안부 통계를 통해 파악한 5급 이상의 모든 영일·포항 출신 공무원들의 명단이다. 엄밀히 말하면 영포목우회에 회원 자격을 가진 ‘예비회원’들인 것이다. 예비회원 중엔 영포목우회라는 이름조차 모르는 공무원이 있는가 하면 존재는 알아도 그간 한 번도 모임에 나오지 않은 인사들이 수두룩하다.
영포목우회 내부에선 이상득 의원 지역구가 있는 구룡포 등 포항 남구지역과 동지상고 인맥들이 숨은 요직을 차지하고 있다는 말이 돌았다. 총리실 민간인 사찰사건의 발단은 영포목우회가 아니라 실세들이 주도한선진국민연대 등 비선 조직과 관련 있다는 시각이 우세했다.
영포목우회 관계자는 “정국 주도권을 잡으려는 민주당과 영일·포항라인을 제거하기 위한 한나라당 내부의 반란에 엉뚱하게도 영포목우회가 유탄을 맞았다”고 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문제의 영포목우회 수첩은 영포목우회 창립 12년이 지난 1997년 4월 만들어진 것으로, 수첩에는 정회원, 준회원, 명예회원으로 구분된 '회원' 및 '고문'들의 이름과 사진, 직책, 본적, 주소, 출신고 등이 적혀 있다.
정회원은 5급(사무관) 이상 공무원이고, 준회원은 6급 이하 공무원 회원을 뜻한다. 5급 이상 공무원 회원수가 적다 보니 수를 늘리는 차원에서 준회원 조항을 신설했다고 한다.
명예회원은 정회원 10명의 추천을 받은 사람으로 공무원 출신의 정치인, 기업인들이었다. 1997년 당시 정회원 60명, 준회원 20명, 명예회원 24명으로 총 회원 규모는 104명이었다.
정치권에서 영포목우회 회원이라는 의혹을 제기한 이인규 윤리지원관은 1997년 노동부 5급 공무원이었지만 회원 명단에 들어있지 않았다. 이영호 청와대 비서관 역시 당시 은행원 신분이어서 회원 명부에 보이지 않았다. 한국갤럽 회장으로 있던 최시중 위원장과 경북 칠곡 출신으로 이상득 의원 보좌관이었던 박영준 국무총리실 국무차장도 명단에 없었다.
명예회원 중에서는 '과거 친박' 김무성 한나라당 원내대표가 끼어 있어 눈길을 끌었다. 그는 어릴 적 포항에서 자라 명예회원에 이름을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수첩에는 영포목우회의 ‘고문’ 17명 명단도 포함돼 있었다. 여기엔 당시 왕성하게 활동하던 영일·포항 출신 기업인과 정치인 등이 다수 포함됐다. 이명박 대통령과 이상득 의원, 허화평 전 의원, 김창성 ㈜전방 명예회장, 박경석 전 의원, 최상엽 전 법무장관 등이 바로 그들이었다.
이명박 대통령과 이상득 의원의 경우 1990년대와 2000년대 초반 등 3, 4차례 모임에 나온 적이 있다고 했다.
현재 현직 5급 이상 공무원만 120여명쯤 되는 리스트가 돌고 있지만 이는 행안부 통계를 통해 파악한 5급 이상의 모든 영일·포항 출신 공무원들의 명단이다. 엄밀히 말하면 영포목우회에 회원 자격을 가진 ‘예비회원’들인 것이다. 예비회원 중엔 영포목우회라는 이름조차 모르는 공무원이 있는가 하면 존재는 알아도 그간 한 번도 모임에 나오지 않은 인사들이 수두룩하다.
영포목우회 내부에선 이상득 의원 지역구가 있는 구룡포 등 포항 남구지역과 동지상고 인맥들이 숨은 요직을 차지하고 있다는 말이 돌았다. 총리실 민간인 사찰사건의 발단은 영포목우회가 아니라 실세들이 주도한선진국민연대 등 비선 조직과 관련 있다는 시각이 우세했다.
영포목우회 관계자는 “정국 주도권을 잡으려는 민주당과 영일·포항라인을 제거하기 위한 한나라당 내부의 반란에 엉뚱하게도 영포목우회가 유탄을 맞았다”고 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김동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