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 고대사학자 심백강 인터뷰- 사료로 찾은 고조선의 강역(上)-"고조선은 중국 북경을 지배했다"
낙엽군자
2024. 11. 27. 10:03
동지한식백오제 105년만에 공개된 운암강수만경래 경만장 안내성 성도 私家에 전한
문왕 사명자 초,중,말복 都安 세살림 司命旗 엠불럼(emblem) 로고.
범증산계통합경전-십경대전 서문 2013~2015 사오미 개명장에 비매품 출간 이후
2012년 5월31일 출간! 전국서점 구독!
범증산계통합경전-십경대전 서문 5월31일 출간! 전국서점 구독!
사륙배판 1040쪽 정가5만원. All 호화 칼러판.온라인 검색주문 추천!
*서문이라 목차가 없음
동지한식백오제 천지공사 105년간의 종통인사 비밀을 모두 밝힌다..
소장본으로라도 꼭 구입할 것! 인터넷 서점 구입시 할인!
신앙상담::
010-2510-0038(금강), 010-5678-1691(동광), 010-9963-2949(동명),010-7474-9872(무이), 010-4041-1691(장락),010-8796-3296(영화), 010-8795-3296(정화), 010-9339-2691(경덕), 010-5588-2865(명현), 010-6579-2513(지산), 010-3490-6196(동원)
사료로 찾은 고조선의 강역
rainbow3 2019. 10. 9. 01:34
"고조선은 중국 북경을 지배했다"
🌺🌺🌺 고대사학자 심백강 인터뷰- 사료로 찾은 고조선의 강역(上)
심백강 원장은 사료를 통해 우리 고대사를 연구하는 학자다. 그는 후학(後學)들이 우리 고대사를 바르게 연구할 수 있도록 <삼국사기>나 <삼국유사>보다 연대가 앞선 1차 사료를 수집ㆍ정리하는 일에 평생을 바치고 있다. 그와의 인터뷰를 2회에 걸쳐 나누어 싣는다.
아직도 우리 역사 학계에서 풀지 못하고 있는 수수께끼 중 하나가 바로 고조선(古朝鮮)의 강역(疆域) 문제다. 우리 민족 최초의 국가인 고조선의 위치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으면서 우리 고대사는 그 뿌리인 출발부터 뒤엉켜 있는 형국이다. 우리 상고사(上古史)가 이처럼 부실해진 결정적인 이유는 바로 사료(史料) 부족 때문이다.
우리 역사에서 고조선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13세기 후반 일연(一然) 스님이 쓴 <삼국유사>(三國遺事)이며, 그나마 책 한 장 분량에 그친다. 이처럼 절대적으로 부족한 사료는 우리 고대사를 잡힐듯하면서도 잡히지 않는 그림자처럼, 보일듯하면서도 보이지 않는 미로처럼 만들었다. 그 결과 우리 사학계(史學界)는 일제가 연구해 놓은(혹은 의도적으로 왜곡해 놓은) 고대사(고조선사)를 거의 그대로 계승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우리 사학계에 경종을 울리고 있는 학자가 있다. 바로 심백강(沈伯綱) 민족문화연구원 원장이다. 그는 “상고사(上古史)는 사료가 생명”이라고 주장하며 지난 20여 년간 우리 고대사에 대한 연구와 사료(1차 사료)의 수집에 심혈을 기울여 왔다.
심 원장이 눈을 돌린 사료는 바로 중국의 <사고전서>(四庫全書)다. <사고전서>는 청나라 건륭(乾隆: 1736~1795) 연간에 학자 1000여 명을 동원해 10년에 걸쳐 청나라 이전 중국의 사료를 집대성한 것으로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사료의 보고(寶庫)이다. 심 원장은 8만 권에 달하는 방대한 사료를 포함하고 있는 <사고전서>를 이 잡듯이 뒤져 우리 고대사와 관계된 모든 기록을 추려내 책으로 엮어냈다.
그는 또한 <조선왕조실록>에 있는 단군(檀君)과 고조선 관련 자료도 모두 발췌해서 후학(後學)들이 우리 상고사 관련 1차 사료를 접할 수 있도록 길을 열었다.
문제는 이렇게 심열을 기울여 만든 책이지만, 모두 한문으로 된 책이라 후학(後學)들이나 일반인들의 접근성이 어렵다는 것. 심 박사는 요즘 국사학계에서 한문 원전을 해독할 수 있는 교수나 학자들이 거의 없다는 것을 안타까워하며, <사고전서>의 우리 역사 관련 기록을 번역하고 해설하는 작업을 해오고 있다.
이렇게 해서 그는 지난 6월과 8월 <사고전서> 자료 중에 일차적으로 고조선과 한사군(漢四郡)의 낙랑(樂浪)관련 자료를 모아 펴냈다. 《사고전서 자료로 보는 한사군의 낙랑》(바른 역사)과 《잃어버린 상고사 되찾은 고조선》이라는 두 책에서 심 원장은 고조선과 낙랑관련 사료의 원문과 번역문, 해설문, 주석을 실어 누구라도 읽을 수 있게 편집했다. 책에 수록된 대부분의 사료는 국내학계는 물론이고, 중국이나 일본에도 인용이나 번역이 된 적이 없는 초역(初譯) 자료들이다.
낙랑의 위치가 곧 고조선의 강역
고전의 정확한 번역과 상세한 주석, 그리고 일반인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해설을 붙이는 것은 단순한 한문 독해력만으로는 불가능한 작업이다. 국책연구기관에서도 하기 어려운 일을 심 원장 개인이 할 수 있었던 것은 그가 국내에서 몇 손가락에 꼽을 정도의 높은 한문 해독 실력을 갖춘 한학자이자 역사가, 문학가이기 때문이다.
한중(韓中) 고대사 전공으로 중국에서 역사학박사 학위를 받은 심 원장은 퇴계전서, 율곡전서, 조선왕조실록 등 국내 주요 고전과 역사 기록물을 번역했다. 또한 월간 현대문학 출신의 문학평론가로서 문사철(文史哲)에 두루 조예가 깊은 학자다.
지난 10월초 서울 광화문 부근에 있는 민족문화연구원 사무실에서 심백강 원장을 만났다. 심 원장은 “이번에 펴낸 두 책은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보다 연대가 앞선 중국의 새로운 사료(사고전서)를 통해 고조선의 발상지와 강역을 고증한 것으로, 오랜 고대사 논쟁에 종지부를 찍고 한국사의 척추를 바로 세운 작업”이라고 자평했다.
-원장님께서는 그동안 <조선왕조실록>이나 <사고전서>에서 우리 민족과 고대사 관련 자료를 많이 발췌하여 책으로 엮으셨는데, 이번에 특별히 <사고전서>에 있는 ‘고조선’과 ‘낙랑’에 대한 자료를 따로 묶어낸 이유가 있는지요.
“그동안 펴낸 책은 원전(原典)을 그대로 발췌해서 엮은 1차 작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하는 작업은 이런 사료를 해석하고 주석을 달고, 해설을 하는 2차 작업에 해당합니다.
국내에 사료의 원전을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 극히 제한적이고, 특히 요즘에는 역사학과 교수 중에도 사료의 원전을 제대로 해독하는 사람이 거의 없습니다. 이런 척박한 환경에서 고대사에 대한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질 일이 만무합니다. 따라서 제가 후학들을 위해 단순히 1차 자료를 모아서 제공하는 차원을 넘어서 이 자료들을 직접 해석하고, 주석과 해설을 붙여 엮어 내는 작업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우선 고조선과 낙랑 부분에 관한 작업을 했으니 이어서 삼국시대에 관한 사료 정리 작업을 할 것입니다.”
-‘낙랑’은 한나라 사군(四郡)의 하나인데 어째서 우리 역사에서 중요한지요.
“고조선이나 낙랑은 다 우리 상고사에 속합니다. 고조선은 우리나라 사료에 등장이라도 하지만, 중국 사료에는 거의 취급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하지만 낙랑은 한무제(漢武帝: BC 156 ~ BC 87)가 고조선(위만 조선)을 침략해서 설치한 한사군(낙랑, 임둔, 진번, 현도) 중의 하나기 때문에 중국 문헌에 많이 등장을 합니다.
바로 이 낙랑과 현도(玄菟)가 고구려의 발상지이기 때문에 낙랑의 위치가 중요한 것입니다. 기존 강단 사학(이병도 학설을 계승한 현재의 통설)의 주장처럼 낙랑군이 대동강 유역에 설치되었더라면, 고구려의 발상지도 이 부근이 되는 것이고, 낙랑이 대동강이 아닌 다른 지역에 있었다면 고구려의 발상지도 다른 곳이 되기 때문에 무척 중요한 문제입니다.“
"더 이상 '사료의 빈곤' 주장은 통하지 않아"
-<사고전서>에 낙랑이 평양 대동강 유역이 아니라 다른 곳에 있었다는 자료가 있는지요.
“매우 풍부하게 남아 있는 편입니다. 20여 종의 각기 다른 자료가 한사군의 낙랑군이 대동강 유역이 아니라, 중국 하북성 동쪽, 내몽고 남쪽, 요녕성 서쪽, 즉 ‘요서지역’에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낙랑이 요서에 있었다면 고조선도 당연히 요서에 있었다는 말이 됩니다. 그동안 강단 사학이 상고사 연구에서 그토록 강조해 온 ‘사료의 빈곤’ 주장은 그것이 사실이 아니라 그저 구실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이들 낙랑 관련 사료가 여실히 입증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국사 책에 실린 한사군의 위치. 한사군이 압록강과 한반도 내에 있었다는 이병도 학설을 따르고 있다. 심백강 원장은 "낙랑의 영토가 곧 고구려의 영토이기 때문에 낙랑의 정확한 위치 고증은 우리 고대사의 척추를 바로 세우는 일"이라고 말했다./이미지 출처: 영토한국사(소나무)
-현재 학계의 통설은 고구려의 발상지이자 첫 수도를 중국 요녕성(遼寧省) 오녀산성(홀본 혹은 졸본) 부근으로 보고 있는데요.
“그 문제는 낙랑의 위치가 어디인가만 밝혀지면 끝나는 것입니다. 고구려의 출발지가 바로 낙랑군이기 때문입니다. 현재 통설은 고구려의 발상지를 압록강이나 대동강 유역으로 해놓았는데 이는 한사군인 낙랑, 임둔, 진번, 현도가 압록강을 중심으로 그 부근에 있었다는 가정하에 고정된 학설입니다.
이병도씨는 그 가운데 낙랑군이 특히 현재 북한의 평양 지역에 있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런 학설에 반발한 사람들이 소위 민족사학자들인 신채호, 정인보, 윤내현 같은 분들로 이들은 낙랑을 요동(신채호)이나 요서(정인보 등) 지역으로 보았던 것입니다. 신채호ㆍ정인보 같은 민족사학자들도 당시 <사고전서> 같은 방대한 중국 측 1차 사료를 접하지 못했기 때문에 우리 역사의 강역을 요동이나 요서지역 이상 확대를 하지 못한 것입니다. 이 분들이 <사고전서>를 보았다면 우리 고대사는 지금과는 완전히 다르게 전개되었을 겁니다.”
-현재의 심양(瀋陽) 부근을 흐르는 요하(遼河)를 기준으로 요동과 요서를 나누는 것이죠?
“맞습니다. 신채호 선생은 요하의 동쪽인 요동 지방인 현재의 개주(盖州) 부근을, 정인보 선생은 요하의 서쪽 지방인 조양(朝陽)을 낙랑군으로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제가 <사고전서>의 기록을 고증해 보니, 낙랑군은 하북성의 발해만을 끼고 현재의 북경(北京)과 천진(天津)의 남쪽 일대에 펼쳐져 있었습니다. 동으로 당산(唐山) 천진을 포함하여 서쪽으로는 보정시(保定市) 수성진(遂城鎭)과 백석산(옛 갈석산)까지 이르는 지역입니다. 즉 이곳이 고조선의 강역입니다.”
-그 근거를 설명해 주시죠.
“당시 한나라 수도는 섬서성(陝西省)의 서안(西安)이었습니다. 한무제가 동쪽에 있던 고조선을 침략해서 낙랑군으로 삼은 겁니다. <전한서>(前漢書)에 ‘한무제가 동쪽으로는 갈석(碣石)을 지나 현도ㆍ낙랑으로써 군(郡)을 삼았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그러니까 핵심은 ‘갈석을 지나서 낙랑군이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진태강지리지>(晉太康地理志)에 ‘낙랑군 수성현에 갈석산이 있다’고 했습니다. 수성현은 현재의 보정시에 있습니다. 그러니까 낙랑군의 서쪽이 바로 갈석산과 수성현이라는 의미이고, 이곳이 고조선과 한나라의 국경선이었다는 것입니다. 그동안은 고조선의 서쪽 변경이 어디까지인지 국내 학계에서 정확히 연구된 것이 없습니다. 하지만, <사고전서>의 기록을 통해 서쪽 변경의 국경을 찾아낸 것입니다.”
심백강 원장은 <사고전서>등 중국에서 펴낸 1차 사료를 토대로 고조선과 낙랑의 위치를 고증했다. 이에 따르면 고조선의 주 활동무대(중심지)는 오늘날 노룡현 일대(하북성 동쪽 일대)로, 그 세력 범위가 동쪽 발해만을 기점으로 서쪽으로는 수성현, 동북으로는 압록강까지 이른다. 심 원장은 "이 하북성 동쪽 일대가 바로 우리 배달민족(동이족)이 수천년간 한족(漢族)과 흥망을 다투던 지역"이라고 말했다. 심 원장은 최근 펴낸《잃어버린 상고사 되찾은 고조선》에서 북경 부근에 있는 '조하'가 예전에는 '조선하'였다는 것을 고증했다. 그는 "진시황과 한나라 시절에는 이 조하를 기준으로 요동과 요서를 나누었기 때문에 오늘날 요녕성의 요하를 기준으로 나눈 요동ㆍ요서와는 다른 지역"이라고 밝혔다. /구글맵
-그러면 <전한서>에 등장하는 ‘갈석산’이나 ‘수성현’이 현재 북경과 천진 남쪽에 있는 보정시(수성진) 부근인지 어떻게 고증을 할 수 있는지요.
“일부 민족 사학자들이 이병도의 낙랑군 대동강 유역설을 비판하면서 낙랑군의 위치를 고증하려고, 나름 애를 썼습니다. 그중에 한 이론이 현재 ‘갈석산’이라는 산이 있는 하북성 동쪽 진황도시(秦皇島市)와 이웃한 창려현(昌黎縣) 동쪽 즉, 산해관(山海關) 부근을 낙랑군의 서쪽 변방으로 보는 이론입니다.
일부 민족 사학자들이 이곳을 고조선과 한(漢)나라와의 국경이 되는 것으로 보았습니다. 이 이론의 가장 강력한 근거는 그 부근에 ‘갈석산’이라는 산이 있기 때문입니다. 저도 <사고전서>를 보기 전까지는 이 이론을 따랐습니다. 하지만 이후 중국 <사고전서> 기록을 차례로 고증하니 진황도시 부근의 갈석산은 <전한서>에 등장하는 그 갈석산이 아니라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낙랑 위치 고증의 핵심인 '갈석산'과 '수성'
-<전한서>에서 이야기하는 원래의 갈석산은 어디입니까.
“중국 역사상에 갈석산이 두 개가 등장합니다. 하나는 앞서 말한 하북성 동쪽 진황도시 창려현에 있는 것이고, 나머지 하나는 하북성 남쪽 호타하 부근에 있던 갈석산입니다. 진태강지리지(晉太康地理志)에 ‘낙랑군 수성현에 갈석산이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는 서진(西晉: 265∼316) 시기에는 낙랑군에 수성현이 있고, 수성현에 갈석산이 있었다는 것을 말합니다.
그런데 수당(隋唐) 시대 이후 갈석산이 지금의 하북성 북평군 노룡현(盧龍縣)에 있다고 기록해 놓았습니다(수서 <지리지>, 당 두보의 <통전>, 송의 <태평환우기> 등). 문제는 갈석산이 있다고 언급된 북평군에는 ‘수성현’이 설치된 사례가 없기 때문에 서진 시대에 말한 수성현(遂城縣)에 있다는 갈석산과는 분명 다른 산이라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나머지 하나가 바로 <전한서>에 기록된 갈석산인데, 현재의 보정시 서수현 수성진 부근에 있습니다.”
-그곳에도 갈석산이 있다면 왜 많은 학자가 찾아내지 못했습니까.
“현재 보정시의 수성은 역사적으로 계속해서 내려온 지명입니다. 낙랑군의 25개 현 중에 수성현만 빼고 현재 지명이 남아 있는 것이 하나도 없습니다. 이곳에 있던 갈석산은 도중에 이름이 바뀌면서 후대에 혼란을 준 것입니다.
<사기>에 보면 전국시대 종횡가의 대표적인 인물인 소진(蘇秦)은 연(燕)나라 문후(文候)를 만나서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연나라 동쪽에는 조선(朝鮮)과 요동(遼東)이 있고, 북쪽에는 임호(林胡)와 누번(樓煩)이 있으며, 서쪽에는 운중(雲中)과 구원(九原)이 있고, 남쪽에는 호타(滹沱)와 역수(易水)가 있는데 지방이 2000리쯤 된다’(사기 열전). 이어서 그는 ‘연 나라가 남쪽에는 갈석(碣石)ㆍ안문(雁門)의 풍요로움이 있고, 북쪽으로는 대추와 밤의 수익이 있으므로 백성들이 비록 경작을 하지 않더라도 대추와 밤의 수익만 가지고도 충분할 것이니 이곳이야말로 소위 말하는 천혜의 땅이다’라고 했습니다.
소진은 바로 연나라 남쪽 변경에 호타하와 역수가 있다고 했습니다. 남쪽에는 갈석(碣石)ㆍ안문(雁門)의 풍요로움이 있다고 했습니다. 이 호타하와 역수는 지금도 하북성 보정시 남쪽에 있습니다. 역수는 역현(易縣) 부근에 있습니다. 소진은 이어서 ‘호타하를 건너고 역수를 건너서 4ㆍ5일을 넘기지 않아 국도(國都)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고 했습니다. 이는 연나라의 수도에서 남쪽으로 4~5일 거리에 호타하와 역수가 있었던 것을 말합니다.
종합하면 갈석과 안문은 호타하와 역수 유역 부근에 위치한 연나라 남쪽 강토라는 말입니다. 안문은 현재 산서성 북쪽에 있는 안문산입니다. 만리장성의 9대 관문 중의 하나인 안문관도 있습니다. 즉, 연나라 남쪽의 안문산과 함께 거론된 갈석산은 현재 하북성 노룡현에 있는 갈석산과 동일한 산이 될 수 없다는 확실한 증거를 확보한 것입니다.”
-현장을 가보셨습니까.
“제가 현장을 답사했습니다. 가서 보니까 현장에 갈석산이란 이름을 가진 산이 없습니다. 갈석산은 ‘백석산’이라고 글자 한 자가 바뀌어 있었습니다. 갈석산의 갈(碣)은 비석 중에 짤막한 돌로 비를 세우는 것을 특별히 ‘갈’이라고 합니다. 광개토대왕비처럼 큰 것은 비(碑)라고 하고요. 그래서 합쳐서 비갈(碑碣)이라고 하는데 백석산에 가니까 산의 돌이 전부 비석 같은 모양의 갈석으로 되어 있었습니다. 그리고 옆에 지맥으로 연결된 낭아산(狼牙山)이 있는데, 이 역시 산 위에 돌들이 삐죽삐죽 한 것이 이리의 이빨처럼 생겨서 붙은 이름입니다. 이 ‘백석산’과 ‘낭아산’이 예전에 바로 갈석산으로 부르던 산입니다.”
“낙랑의 평양 대동강 유역설은 어불성설”
-그러니까 진황도시 창려현 부근의 갈석산은 한무제 당시의 갈석산이 아니라는 거군요.
“그렇습니다. 그 갈석산은 서한 말엽 신왕조의 왕망시대에 ‘게석산’으로 출발했다가, 수당(隋唐) 시대에 이르러 갈석산으로 개명된 것입니다. 따라서 한무제가 설치한 현도ㆍ낙랑군은 바로 하북성 남쪽 호타하 부근에 위치한 갈석산을 중심으로 그 동쪽에 설치되었다는 사실이 확인된 것입니다. 한사군이 압록강과 대동강 유역에 설치되었다면, 하북성 남쪽 호타하 부근의 원래 갈석산은 물론 하북성 동쪽 창려현에 있는 갈석산과도 수천리가 떨어진 곳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는 기본적으로 말이 되지 않는 이야기입니다.
이 두 갈석산과 한반도 사이에는 의무려산(醫巫閭山), 백두산 등 큰 산이 있고, 조하(潮河), 난하(灤河), 대릉하(大凌河), 압록강 등 여러 큰 강이 있습니다. 한무제가 대동강 유역에 낙랑군을 설치했다면, 수천리 밖에 있는 갈석산을 특징적인 산으로 들어 설명하지 않고, 백두산이나 압록강을 지나 현도ㆍ낙랑을 설치했다고 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만약 요녕성에 낙랑군을 설치했다면 가장 특징적인 산인 의무려산을 지나서 설치했다고 했을 겁니다.”
-혹시 전한시대 기록이 오기(誤記)일 수는 없는지요.
“한무제가 압록강을 건너 고조선을 평정해 놓고 잘못 기록해 놓았다는 주장인데, 논거가 너무 빈약합니다. 예를 들어 <전한서>에서 이 말을 한 당사자인 가연지(賈捐之)가 낙랑군이 설치된 지 500년이나 1000년 뒤쯤 사람이라면 그동안의 역사를 고증하는데 착오가 생길 수도 있겠지만, 불과 50년 뒤의 기록입니다. 50년 전에 일을 말하면서 공간적으로 수천리가 떨어진 지리를 혼동할 정도로 큰 착오를 범할 수는 없는 일입니다.
더구나 가연지는 한무제가 설치한 주애군(珠厓郡)의 폐기를 건의했고, 한원제가 이를 받아들였을 정도로 비중 있는 인물입니다. 이런 그가 사적인 저술이 아니라 황제에게 정중히 올리는 글에서 이런 엄청난 실수를 저지른다는 것은 상상할 수 없는 일입니다. 또한 이 기록이 잘못되었다면 후대에서 주석을 통해 바로잡았을 텐데 전혀 그렇게 하지 않았습니다. 대동강 유역에 한사군의 낙랑군을 설치했다는 주장은 사대 식민사관적 논리를 따르는 근거 없는 역사 왜곡입니다.”
-그 밖에 낙랑군이 오늘날 보정시 부근이라는 근거가 더 있는지요.
“수성현에서 장성(長城)이 시작된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즉 이곳이 만리장성의 기점이란 의미입니다. 그러니까, 낙랑군의 위치에 대한 옛 기록에 모두 맞으려면 현재의 보정시 수성진이 예전의 낙랑군 수성현이라는 지명이어야 하고, 여기에 갈석산이 있어야 하고, 또한 만리장성의 기점이 있어야 합니다. 단, 여기서 말하는 장성은 오늘날 북경 위에 있는 장성이 아니라, 진시황이 쌓은 ‘만리장성’입니다.
참고로 오늘날 북경 부근에 쌓은 장성은 명나라 때 쌓은 성이기 때문에 ‘명장성’(明長城)이라고 불러야 합니다. 이것을 진시황의 장성과 곧바로 연결시키는 것은 역사적으로 맞지 않습니다. 따라서 진시황이 천하통일 후 천리장성을 쭉 연결해서 쌓은 것만이 ‘만리장성’이 되는 것입니다. 그중에 연나라 장성이 가장 동쪽에 있었는데 그 기점이 바로 수성입니다. 거기가 예전 고조선과 접경지역이었으니까 당연히 장성이 있었을 것 아닙니까? 참고로, 현재 갈석산이 있는 산해관 부근의 창려현 쪽에는 연나라 장성이 없습니다.”
연나라가 점령한 고조선의 요서ㆍ요동은 북경 부근
-그나마 기존의 민족 사학자들이 고조선이나 낙랑의 서쪽 변경을 산해관까지 확장해서 보기는 했지만, 전혀 아니라는 말씀이시죠.
“그렇습니다. 그 부근에는 수당시대에 와서 명칭이 ‘갈석산’이라고 바뀐 산이 하나 있다는 것 외에는 고대의 기록과 맞는 부분이 없습니다. 따라서 <진태강지리지>에 말한 지역이 아닙니다. 하북성 동쪽 진황도시 창려현에 있는 갈석산은 언제 이름이 바뀌었는가? <한서> 무제기에 갈석산에 대한 주석을 내면서 ‘게석산’을 ‘갈석산’으로 해석했는데, 그것이 시발이 되어 많은 사가(史家)들이 이를 근거로 게석산을 갈석산으로 간주함으로써 게석산이 갈석으로 둔갑을 한 것입니다. 그러니까 수당 이후에 갈석산이 창려현쪽으로 옮겨오면서 전국시대의 연나라의 갈석산이 자취를 감추고 사라진 것이죠.”